[언론보도]
[이데일리] 무더워진 여름 면역력 저하… 통증 심한 대상포진 환자 급증
작성일 : 2025.06.13
미래본병원
댓글 : 0
최근 한낮 기온이 30도를 넘어서는 본격적인 초여름 날씨가 찾아오면서 나이가 많고, 신체 면역력이 떨어지는 노인 분들이나 스트레스가 심한 직장인들 사이에 신경 통증의 대표적 질환인 대상포진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대상포진 환자는 약 75만명으로 대상포진 평생 유병률은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과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 위험 또한 높아진다.
65세 이상에서는 젊은 연령층에 비해 대상포진 발생률이 8~10배가량 높아지는데, 세포 매개 면역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50세 이상에서 대상포진이 발생하는 비율은 65%에 달했다.
미래본병원 김형석 신경외과 전문의는 “여름이 시작되는 7~8월이 되면 대상포진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어난다”며 “대상포진은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으로도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신경차단술 등 치료가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며 면역 저하자는 백신 접종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초기에 감기 증세처럼 시작해, 발열과 오한이 있을 수 있고 속이 메스껍고 배가 아프며 설사를 나기도 한다”며 “특징적 증상인 피부 발진은 심한 통증이 먼저 생기고 3~10일이 지난 후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신경통, 디스크, 오십견 등으로 오인하기 쉽다”“고 덧붙였다.
대상포진, 면역력 떨어지는 50~60대부터 젊은층까지 확산
일반적으로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보통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뒤 몸 속에 잠복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질환이다.
걸리게 되면 가벼운 피부발진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 간염,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50~60대 이상에서 많이 생겨 노인성 질환으로 인식돼 왔지만, 최근에는 스트레스가 많은 20~30대까지 젊은층까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특히 흉부에 통증이 나타나는 환자 중에는 상처 부위에 옷이 스치는 것조차 괴로워 옷 입기를 두려워하며, 얼굴에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중에는 머리카락이나 상처 부위를 건드리면 더욱 통증이 심해져 소스라치게 놀라는 경우도 있다.
대상포진이 가장 잘 생기는 부위는 흉부로서 등으로부터 시작해 옆구리, 가슴, 복부에 나타난다. 그 다음으로는 얼굴 부위로서 특히 이마나 앞머리 또는 뺨에 나타나며, 그 밖에 목, 허리, 다리에도 드물게 나타기도 한다.
대상포진 발병 시 치료법 어떻게?
대상포진이 발병했을 때 72시간 내에 바로 항바이러스제, 진통제, 스테로이드제 등 약물치료를 해야 바이러스에 의한 신경 손상 정도를 감소시켜 이후 나타날 수 있는 극심한 신경통을 일부 예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주로 신경차단술이나 교감신경치료 등을 진행한다. 신경차단술은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신경절에 직접 약물을 주사해 신경에 나타난 염증을 없애는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물집이 번지거나 터지기 전에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 발병 초기부터 바이러스 치료와 통증 치료를 함께 받으면 최소한 대상포진 치료 후 통증이 계속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 찬바람을 쐬지 않고 목욕 시에는 물집을 부드럽게 닦아주는 게 좋다. 통증이 심할 때는 열습포 방법이 도움이 된다.
이밖에 균형 잡힌 식단으로 식사하는 것이 좋고 평소 스트레스를 관리해 면역력 저하를 막아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 반신욕, 충분한 수분 섭취, 숙면, 햇볕 쬐기를 통한 비타민D 보충 등도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기사 출처: 이데일리
기사 링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11366642201392&mediaCodeNo=257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대상포진 환자는 약 75만명으로 대상포진 평생 유병률은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과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 위험 또한 높아진다.
65세 이상에서는 젊은 연령층에 비해 대상포진 발생률이 8~10배가량 높아지는데, 세포 매개 면역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50세 이상에서 대상포진이 발생하는 비율은 65%에 달했다.
미래본병원 김형석 신경외과 전문의는 “여름이 시작되는 7~8월이 되면 대상포진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어난다”며 “대상포진은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으로도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신경차단술 등 치료가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며 면역 저하자는 백신 접종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초기에 감기 증세처럼 시작해, 발열과 오한이 있을 수 있고 속이 메스껍고 배가 아프며 설사를 나기도 한다”며 “특징적 증상인 피부 발진은 심한 통증이 먼저 생기고 3~10일이 지난 후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신경통, 디스크, 오십견 등으로 오인하기 쉽다”“고 덧붙였다.
대상포진, 면역력 떨어지는 50~60대부터 젊은층까지 확산
일반적으로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보통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뒤 몸 속에 잠복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질환이다.
걸리게 되면 가벼운 피부발진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 간염,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50~60대 이상에서 많이 생겨 노인성 질환으로 인식돼 왔지만, 최근에는 스트레스가 많은 20~30대까지 젊은층까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특히 흉부에 통증이 나타나는 환자 중에는 상처 부위에 옷이 스치는 것조차 괴로워 옷 입기를 두려워하며, 얼굴에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중에는 머리카락이나 상처 부위를 건드리면 더욱 통증이 심해져 소스라치게 놀라는 경우도 있다.
대상포진이 가장 잘 생기는 부위는 흉부로서 등으로부터 시작해 옆구리, 가슴, 복부에 나타난다. 그 다음으로는 얼굴 부위로서 특히 이마나 앞머리 또는 뺨에 나타나며, 그 밖에 목, 허리, 다리에도 드물게 나타기도 한다.
대상포진 발병 시 치료법 어떻게?
대상포진이 발병했을 때 72시간 내에 바로 항바이러스제, 진통제, 스테로이드제 등 약물치료를 해야 바이러스에 의한 신경 손상 정도를 감소시켜 이후 나타날 수 있는 극심한 신경통을 일부 예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주로 신경차단술이나 교감신경치료 등을 진행한다. 신경차단술은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신경절에 직접 약물을 주사해 신경에 나타난 염증을 없애는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물집이 번지거나 터지기 전에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 발병 초기부터 바이러스 치료와 통증 치료를 함께 받으면 최소한 대상포진 치료 후 통증이 계속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 찬바람을 쐬지 않고 목욕 시에는 물집을 부드럽게 닦아주는 게 좋다. 통증이 심할 때는 열습포 방법이 도움이 된다.
이밖에 균형 잡힌 식단으로 식사하는 것이 좋고 평소 스트레스를 관리해 면역력 저하를 막아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 반신욕, 충분한 수분 섭취, 숙면, 햇볕 쬐기를 통한 비타민D 보충 등도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기사 출처: 이데일리
기사 링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11366642201392&mediaCodeNo=257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