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머니투데이] "스치기만해도 끔찍 고통" 로제도 앓은 '이 병'…2030도 노린다

작성일 : 2025.06.13

미래본병원

댓글 : 0

"스치기만해도 끔찍 고통" 로제도 앓은 '이 병'…2030도 노린다

한낮 기온이 30도를 오르내리는 등 본격적인 여름 날씨가 찾아오면서 나이가 많고 면역력이 떨어지는 노인과 스트레스가 심한 학생·직장인에 '대상포진' 경고등이 켜졌다. 실제 대상포진은 겨울보다 여름에 환자가 더 많다. 더위 탓에 체력이 떨어지고 면역력이 약해지기 쉽기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대상포진 환자는 약 75만명으로 대상포진 평생 유병률은 30%에 달한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과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 위험이 커진다. 실제 65세 이상은 젊은 연령층보다 대상포진 발생률이 8~10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는데 이는 세포 매개 면역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50세 이상이 전체 환자의 60~70%를 차지한다.

대상포진은 수술 후 통증이나 산통보다 강도가 심해 흔히 '통증의 왕'이라 불린다. 미래본병원 김형석 신경외과 전문의는 "초기에 발열과 오한 등 감기 증세가 나타나는데 속이 메스껍고 배가 아프며, 설사하기도 한다"며 "특징적 증상인 피부 발진은 심한 통증이 먼저 생기고 3~10일이 지난 후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라 신경통, 디스크, 오십견 등으로 오인하기 쉽다"고 말했다.

면역력 떨어지는 5060 위험, 젊은 층까지 확산해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보통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뒤 몸속에 잠복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질환이다. 가벼운 피부발진이 나타나는데 심할 경우 간염·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50~60대 이상에서 발병률이 높아 '노인성 질환'으로 인식됐지만 최근에는 스트레스가 심한 20~30대 젊은 층까지 확산하는 추세다. 가수 블랙핑크의 멤버 로제도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 스트레스가 심해지면서 코로나19(COVID-19) 시기 대상포진을 앓은 사실을 고백하기도 했다.

대상포진이 가장 잘 생기는 부위는 몸통으로 등에서 시작해 옆구리, 가슴, 복부에 증상이 나타난다. 그다음은 얼굴로 특히 이마나 앞머리 또는 뺨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목, 허리, 다리에는 드물게 나타난다. 대상포진으로 인한 피부 증상은 환자에게 극심한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흉부에 통증이 나타나는 환자는 상처 부위에 옷이 스치는 것이 괴로워 옷 입기를 두려워한다. 얼굴에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도 머리카락이나 상처 부위에 자극이 가는 것이 무서워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대상포진 치료는 '속도'가 중요하다. 물집이 번지거나 터지기 전에 치료받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 발병 후 72시간 이내에 항바이러스제, 진통제, 스테로이드제 등 약물치료를 해야 바이러스에 의한 신경 손상 정도를 감소시켜 이후 나타날 수 있는 극심한 신경통을 일부나마 예방할 수 있다. 신경차단술이나 교감신경치료 등을 진행하기도 한다. 신경차단술은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신경절에 직접 약물을 주사해 신경에 나타난 염증을 없애는 치료법이다.

김형석 전문의는 "발병 초기부터 바이러스 치료와 통증 치료를 함께 받으면 최소한 대상포진 치료 후 통증이 계속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며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으로도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신경차단술 등 치료가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며 면역 저하자는 백신 접종이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

일상생활에서는 찬 바람을 쐬지 않고 목욕 시 물집을 부드럽게 닦아주는 게 증상 관리에 도움이 된다. 통증이 심할 때는 열 습포 방법이 효과적이다. 균형 잡힌 식단으로 식사하고 평소 스트레스를 관리해 면역력 저하를 예방한다. 면역력 강화를 위해 반신욕, 충분한 수분 섭취, 숙면, 햇볕 쬐기 등도 추천된다.

기사 출처: 머니투데이
기사 링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61309240489893